🎙️ Suno 프롬프트에 백업 보컬 넣기
가사 프롬프트에 괄호 ()를 사용하면 백업 보컬이나 코러스를 만들 수 있다.
괄호 안에 넣은 가사는 메인 보컬 뒤에 따라 나오거나 반복되는 느낌으로 들어간다.
예시
Suno 가사 프롬프트:
sing me a song (sing me a song)
→ 메인 보컬: sing me a song
→ 백업 보컬: (sing me a song)
🎵 Suno 가사 프롬프트에 멜로디 넣기
Suno 프롬프트에 멜로디 느낌도 직접 적어볼 수 있다.
가사 중간에 멜로디를 소리나는 대로 적어주면, 그 느낌을 살려서 만들준다.
예시
ou ou la la la oot oot
dee dee doo doo
yeah yeah oh oh baby
fly so high ou ou la la la
feel the love dee dee doo doo
dancing all night yeah yeah
🎤 가사에 강조나 외침 넣기 — 대문자 사용하기
가사 프롬프트에 대문자(ALL CAPS)를 사용하면 강조하거나 소리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Suno가 대문자를 인식해서 더 강하게 부르거나 외치는 느낌을 줄 때 좋다.
예시
we’re dancing all night
FEEL THE BEAT DROP
never gonna stop
🎶 Song Structure Metatags — 가사 태그
가사 프롬프트에 이런 구조 태그를 활용하면 노래의 구성을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 [Intro] : 노래의 도입부, 시작을 나타냄
- [Verse] : 벌스 파트, 스토리나 내용을 전달하는 부분.
- [Pre-Chorus] : 코러스로 넘어가기 전에 분위기를 준비하는 구간.
- [Chorus] : 노래의 메인 후렴구로 가장 강조되는 부분.
- [Post-Chorus] : 코러스 이후에 이어지는 추가 파트.
- [Bridge] : 곡 분위기나 멜로디에 변화를 주는 전환 구간.
- [Outro] : 노래의 마무리, 끝나는 부분을 나타냄.
- [Hook] : 귀에 쉽게 남는 중독성 있는 파트를 강조할 때 사용.
- [Break] : 노래 흐름을 잠시 쉬어가는 구간이나 연주 파트.
- [Fade Out] : 점점 소리를 줄이면서 자연스럽게 끝나는 방식.
- [Fade In] : 점점 소리를 키우면서 자연스럽게 시작하는 방식.
🎵 Instrumental Metatags — 악기 스타일이나 편곡 관련 태그
- [Instrumental] : 연주 파트가 들어가는 부분
- [Guitar Solo] : 기타 솔로가 나오는 부분
- [Piano Solo] : 피아노 솔로가 나오는 부분
- [Drum Solo] : 드럼 솔로가 나오는 부분
- [Bass Solo] : 베이스 솔로가 나오는 부분
- [Instrumental Break] : 악기 연주로 구성된 브레이크(전환) 구간
🎙️ Vocals - Suno 가사 프롬프트 보이스 태그
가사 프롬프트 안에서 가사나 말하는 부분의 목소리를 바꿀 수 있다. 다만 이런 보이스 태그는 잘 안될 수 도 있다.
그래서 이런 보이스 관련 프롬프트는 Style(스타일) 섹션에 넣어서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생성할 때 스타일 부분에 넣는 게 더 효과적이다.
- [Male Vocal] : 남성 보컬 사용
- [Female Vocal] : 여성 보컬 사용
- [Duet] : 듀엣 구성
- [Choir] : 합창 추가
- [Spoken Word] : 말하듯이 표현하는 파트 생성
- [Harmonies] : 화음 추가
- [Vulnerable Vocals] : 거칠고 감정적인 보컬 표현
- [Whisper] : 속삭이는 듯한 부드러운 보컬 생성
Suno 보컬 메타태그 예시 프롬프트
[Intro] (soft piano)
[Male Vocal] Walking down this lonely road
[Female Vocal] (echo) Searching for a place called home
[Duet] We are lost but not alone (not alone)
[Chorus] [Choir] Shine the light, guide me through the night
[Harmonies] Oh-oh-oh, I can feel it in my soul
[Spoken Word] "Never give up... keep moving forward."
[Whisper] (breathe in, breathe out)
[Outro] (instrumental fade out)
Specific Elements Metatags
- [Catchy Hook] : 기억에 남는 후크(훅)을 만든다.
- [Emotional Bridge] : 감정이 고조되는 브릿지 파트를 추가한다.
- [Powerful Outro] : 강렬하게 마무리하는 아웃트로를 생성한다.
- [Soft Intro] : 부드럽게 시작하는 인트로를 추가한다.
- [Melodic Interlude] : 멜로디 중심의 짧은 전환 파트를 만든다.
- [Percussion Break] : 타악기(비트) 중심의 브레이크 파트를 추가한다.
Atmosphere and Mood Metatags
- [Eerie Whispers] : 희미하고 소름 돋는 백그라운드 보컬 추가
- [Ghostly Echoes] : 리버브가 강한 몽환적이고 유령 같은 사운드 생성
- [Ominous Drone] : 긴장감을 주는 낮고 지속적인 소리 삽입
- [Spectral Melody] : 오싹하고 비현실적인 멜로디 생성
- [Melancholic Atmosphere] : 슬프거나 감성적인 분위기 연출
- [Euphoric Build] : 벅차오르는 희열감이 터지는 클라이맥스로 전개
- [Tense Underscore] : 음악 전반에 은은한 긴장감을 더함
- [Serene Ambience] : 평화롭고 차분한 분위기 생성
- [Nostalgic Tones] :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레트로 감성 연출
Dynamic and Progression Metatags
- [Building Intensity] : 점점 강렬해지는 음악 전개
- [Climactic] : 음악적 절정에 도달
- [Emotional Swell] : 감정이 점점 고조되는 빌드업 연출
- [Layered Arrangement] : 악기와 사운드를 다층적으로 쌓아 복잡한 구성 생성
- [Orchestral Build] : 오케스트라 악기들이 점진적으로 추가되는 전개
- [Stripped Back] : 최소한의 악기만 남겨 심플하게 구성
- [Sudden Break] : 갑작스러운 전환이나 변화 삽입
- [Crescendo] : 볼륨 또는 강도가 점점 커지는 표현
- [Decrescendo] : 볼륨 또는 강도가 점점 작아지는 표현
'IT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핫한 생성형 AI, 어떤 게 좋을까? (1) | 2025.04.12 |
---|---|
생성형 AI 완전 정복! (1) | 2025.04.12 |
Suno ai 프롬프트 – AI 음악을 만들기 위한 프롬프트 작성하기 (0) | 2025.04.05 |
생성형 AI(Generative AI)란 무엇인가? (0) | 2023.10.18 |
Web 3.0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3.05.06 |
댓글